[고구려의 왕 칭호] "광개토태왕"이 바른 표현
'왕중왕'을 칭하는 말...진흥왕-장수왕도 "대왕"
시호 '광개토'처럼 광개토대왕은 재위 동안 중국 동북평원 일대에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그리고 대왕의 업적을 기록한 광개토대왕비에는 그에
걸맞게 왕을 '태왕'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런 기록을 근거로 일부 재야 사학자들은 광개토대왕의 칭호를 '광개토태왕'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을 수년전부터 해왔다. 그러나 우리 학계는
아직 광개토태왕은 물론 '광개토대왕'이라는 존칭조차 인정하지 않은 채 '광개토왕'을 공식 명칭으로 택하고 있다. 태왕이라는 호칭을 쓴 것은
사실이지만 굳이 호칭의 혼란을 감수하면서까지 왕의 칭호를 바꿔야 할 필요가 있느냐는 게 학계의 입장이다. 거기에는 '태왕 호칭=국수주의'라는
비난의 시각까지도 들어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학계의 시각이야말로 태왕이라는 호칭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데서 빚어진 오해라는 비판도 학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대왕이나 태왕이라는 호칭은 삼국시대부터 고구려는 물론 신라, 백제에서도 쓰였던 흔적이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왕호의 하나이다. 중국의
황제나 천자, 막북이 '칸'처럼 '왕중왕'을 칭하는 말이다. 삼국시대 사람들은 황제라는 중국의 낯선 칭호 대신 막북의 칸처럼 태왕을 우리 고유의
왕호로 사용했던 것이다.
'왕중왕'이라는 뜻인 만큼 태왕이라는 칭호는 아무에게나 붙여주지 않았다. 한 왕조에서 이런 칭호를 받은 왕은 1∼2명 나올 정도로 귀한
칭호였다.
고구려는 광개토대왕비에 태왕이라는 호칭이 등장하고 있고, 신라는 전성기인 신라의 진흥왕순수비에 진흥태왕이라는 말이 나온다. 장수왕 때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중원고구려비에서도 과거 대왕이라고 읽은 부분이 태왕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세 왕은 모두 활발한 정복활동을 통해 주변 국가를 복속하거나 합병하는 등 뚜렷한 업적을 남기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밖으로
뻗어나가며 제국의 질서를 구축한 왕에게 태왕이라는 호칭을 쓰고있는 것이다.
태왕이라는 용어가 제국의 군주를 뜻함은 진흥왕순수비에 '짐'이라는 중국 황제의 용어가 나오는 것이나, 광개토대왕이 영락이라는 연호를 쓴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백제 무녕왕릉에도 무녕왕에 대해 '붕어했다'는 중국 황제의 용어가 나와 백제도 이런 용어를 썼을 개연성이 높다.
이런 근거들을 보면 태왕은 중국의 천자나 황제와 같은 반열의 제국의 군주를 칭하는 삼국시대의 보편적 용어일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이런
위대한 왕들에 대해서는 당연히 일종이 관명이라고 할 수 있는 태왕호를 붙여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답사단의 서영수 단국대 교수는 "중국 역대 사서를 보면 같은 사람이라도 그 당시 형편에 따라 제후, 왕, 황제로 나누어
칭한다" 면서 "진시황도 처음 진나라의 왕이었을 때는 진왕이라고 불렀다가 중국을 통일하자 진시황으로 불렸다"고 말했다. 태왕이라는 호칭을 붙이는
것이 공연히 역사를 부풀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역사를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쓰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답사단은 일단 용어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무난하게 쓰이고 있는 '광개토대왕'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
(주간조선 2003-10-14) |